티스토리 뷰



PLU 코드 정확히 알기


요즘엔 일반 수입 과일뿐만 아니라

코코넛이나 두리안, 아보카도 등등

다소 쉽게 구하기 힘들던 과일도

동네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죠 ㅎㅎ


그런데 유심히 보면 수입 과일마다

숫자가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어요.


이 숫자가 PLU 코드라는 건데요,

오늘은 이 코드에 관한 정보를 

여러분께 소개해 볼까 합니다.



PLU 코드란 무엇?


PLU 코드란,

수입 과일의 정보가 담긴 번호인데요,

가격이나 재배방식 등을 알 수 있어요.


4자리 혹은 5자리로 구성되어 있고,

밀봉된(포장된) 제품이 아닌

대량생상된 미포장 상품에 부여돼요.


미국과 캐나다를 필두로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으로 확산됐지만

모든 수입 과일에 PLU 코드가

부여되는 건 아니라고 해요.


강제 규정이 아니기 때문인데요,

코드를 부여하지 않는 국가도 있고

일부 재배 방식에 따라 코드 부여를

꺼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


어쨌든 이 숫자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

일단 PLU 코드가 부여된 과일은

단순히 육안으로 제품의 재배 방식을

대략적으로 식별하는 게 가능하므로

이번 기회에 제대로 알아보아요♡




3이나 4로 시작하는 코드


3이나 4로 시작하는 네 자리 코드

일반(전통)재배 방식의 과일이에요.


그러므로 이런 과일은 재배 과정에서

농약이나 화학비료가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왜 굳이 코드 시작번호를

3과 4로 구별했을까요? 그 이유는~


3으로 시작되는 코드가 붙은 과일은

방사선을 통한 비가열 살균처리된

방사선 조사식품이라고 합니다.

(4는 그냥 일반 과일)


아! 그리고 중요한 한 가지가 더 있어요!


같은 종류의 과일에 붙은 코드가

같은 숫자로 시작된다 할지라도

수가 큰 쪽이 과일 크기도 크다네요.

(PLU 코드가 부여된 모든 과일에 해당)


 


9로 시작하는 코드


9로 시작되는 다섯 자리 코드

유기농 재배 과일을 의미해요.


같은 레몬을 구입하더라도

4로 시작하는 코드는 일반재배,

9로 시작하는 코드는 유기농이죠.


그리고 마찬가지로,

9로 시작하는 코드가 붙은

같은 종류의 수입 과일이라면

코드의 숫자가 큰 쪽이 과일도 큽니다.




8로 시작하는 코드


8로 시작하는 다섯 자리 코드는

가장 논란이 많은 PLU 코드예요.


원래 코드가 8로 시작하면 GMO,

즉 유전자 변형(조작) 식품이란 의민데

아직까지 이 코드가 사용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합니다. ㄷㄷㄷ


왜냐면 GMO 안정성 논란이 있는 만큼

과일에 8로 시작하는 코드를 부여하면

GMO라는 낙인을 찍게 되는 거니까요.


(물론 대다수의 GMO 제품은

가공식품을 만드는 데 쓰이고 있지만...)


게다가 PLU 코드 담당기관인 IFPS는

8로 시작하는 코드 부여 방침을

변경할 예정이라고 밝힌바 있어요.


(83xxx → 일반 재배 식품

84xxx → 유기농 재배 식품)


이러한 이유로 현재 논란 중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당.





정리: 복습하기


위에서 나열한 정보들을

다시 정리하여 복습해 보도록 해요.


# 3xxx 혹은 4xxx : 일반 재배


- 일반 재배 방식의 과일들은

농약, 화학비료 사용 가능성 있음.


- 3으로 시작하는 4자리 코드는

일반 재배 + 방사선 살균처리.


- 4로 시작하는 4자리 코드는

일반 재배 식품.


# 9xxxx : 유기농 재배


# 8xxxx : GMO → 방침 변경 예정


- 8로 시작하는 5자리 코드는

원래 유전자 변형 식품을 의미하나

83xxx는 일반 재배 코드로

84xxx는 유기농 재배 코드로

변경하여 부여될 예정임.


# 그밖에


- PLU 코드는 미포장 대량생산 과일에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됨.


- 같은 숫자로 시작된 코드가 붙은

같은 종류의 과일이라 할지라도

숫자가 큰 쪽이 크기가 큰 과일.



 정리라고 하기엔 너무 길어졌.. ^^


저는 평소에 국산 과일만 애용해서

그닥 GMO에 대한 걱정은 없지만...


(국산 과일에는 친환경 마크가 있어서

인증번호를 검색하면 재배 방식과

재배 지역, 재배한 사람까지 확인됨.)


수입 과일 즐겨 드시는 분들은

무심코 구입하기 보다는

오늘 내용을 잘 기억해 두셨다가

잘 따져보고 구입하셨음 좋겠어요.


더불어 모든 수입과일에

정확한 PLU 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의무화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